로스팅 프로파일(윌리암 부트)
우리가 로스팅을 배우다 보면, S-curve 라고 불리는 로스팅 그래프를 접하게 됩니다.
투입온도부터, 터닝포인트(중점) , 그리고 1차 크랙과 2차 크랙,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
모두 기록된 데이타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입니다.
아래의 내용은 미국의 유명한 로스팅교육자인 윌리암 부트가 하드빈(조밀도가 강한커피)
를 로스팅할때의 프로파을을 공개한 자료입니다.
그래프 아래에, 그래프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
(c) William Boot
1. 중점이 200F 아래이며, 2분입니다. ( 로스터에 따라 다릅니다.)
* 참고로, 윌리암부트의 글들을 읽으면 그는 주로 프로밧 L12 를 주로 사용한다합니다.
2. 1차 크랙은 약 7분에 시작하였습니다.
3. 1차 크랙과 2차 크랙동안 발열반응이며, 그 이전이후는 모두 흡열반응입니다.
4. 하드빈의 경우, 처음부터 최대화력으로 진행합니다
5. 1차 크랙 약 1분전에 화력을 80% 줄였으며, 1차 크랙이후 2차크랙까지 약4분35초동안
375F 에서 400F (25F 의 온도차) 로 온도가 올라갔습니다.
위의 로스팅 프로파일을 참고로 로스팅 한다면, 공부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
복진현.
로스팅 프로파일(윌리암 부트)
우리가 로스팅을 배우다 보면, S-curve 라고 불리는 로스팅 그래프를 접하게 됩니다.
투입온도부터, 터닝포인트(중점) , 그리고 1차 크랙과 2차 크랙,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
모두 기록된 데이타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입니다.
아래의 내용은 미국의 유명한 로스팅교육자인 윌리암 부트가 하드빈(조밀도가 강한커피)
를 로스팅할때의 프로파을을 공개한 자료입니다.
그래프 아래에, 그래프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
(c) William Boot
1. 중점이 200F 아래이며, 2분입니다. ( 로스터에 따라 다릅니다.)
* 참고로, 윌리암부트의 글들을 읽으면 그는 주로 프로밧 L12 를 주로 사용한다합니다.
2. 1차 크랙은 약 7분에 시작하였습니다.
3. 1차 크랙과 2차 크랙동안 발열반응이며, 그 이전이후는 모두 흡열반응입니다.
4. 하드빈의 경우, 처음부터 최대화력으로 진행합니다
5. 1차 크랙 약 1분전에 화력을 80% 줄였으며, 1차 크랙이후 2차크랙까지 약4분35초동안
375F 에서 400F (25F 의 온도차) 로 온도가 올라갔습니다.
위의 로스팅 프로파일을 참고로 로스팅 한다면, 공부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
복진현.